여기에서는 거듭제곱(또는 잠재 함수)을 유도하는 방법을 설명하고, 거듭제곱의 파생 공식과 몇 가지 예를 찾을 수 있으며, 단계별로 연습문제를 풀어 연습할 수도 있습니다.
거듭제곱의 미분 공식
거듭제곱 또는 전위 함수의 도함수는 거듭제곱의 지수에 밑의 도함수를 뺀 지수에서 밑의 도함수의 1을 곱한 값입니다.
따라서 밑이 항등 함수 인 경우 거듭제곱을 얻으려면 함수에 지수를 곱하고 지수에서 한 단위를 빼면 됩니다.
실제로 항등함수의 미분은 1과 같습니다.
요약하자면, 잠재 함수를 도출하려면 두 가지 공식이 있습니다. 첫 번째는 항상 사용할 수 있고 두 번째는 밑이 x일 때만 적용할 수 있습니다.

우리는 거듭제곱의 도함수에 대해 제시된 첫 번째 공식이 두 번째 공식과 같지만 체인 규칙을 적용한다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이 공식은 변수가 거듭제곱인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으며, x가 분모에 있는 경우 지수 함수의 도함수에 대한 규칙을 적용해야 합니다.
➤ 참조: 지수 함수의 미분
거듭제곱 미분의 예
잠재 함수의 도함수에 대한 공식을 본 후에는 거듭제곱이 어떻게 도출되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이러한 유형의 도함수에 대한 몇 가지 예를 설명할 것입니다.
예 1: 기본 거듭제곱 x의 미분
이전 섹션에서 설명했듯이 거듭제곱의 밑이 x일 때 함수를 도출하기 위해 사용해야 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따라서 4의 거듭제곱 x의 도함수는 다음과 같습니다.
예 2: 괄호를 사용한 거듭제곱의 파생
이 예에서 밑은 항등 함수가 아니므로 거듭제곱의 도함수에 대한 일반 공식을 사용해야 합니다.
괄호 안의 함수는 선형 함수이므로 그 도함수는 2입니다. 따라서 전체 전위 함수의 도함수는 다음과 같습니다.
예시 3: 음의 거듭제곱의 미분
이 경우 지수가 음수이고 밑이 로그인 잠재적 함수가 있으므로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함수를 차별화합니다.
거듭제곱 지수가 음수이더라도 그 지수에서 1을 빼야 합니다. 따라서 함수의 미분은 다음과 같습니다.
해법에 대해 의문이 있는 경우 여기에서 로그 함수의 미분 공식을 참조할 수 있습니다.
➤ 참고: 로그 함수의 미분
예 4: 근이 있는 거듭제곱의 파생
이 예의 함수는 정규식 내의 거듭제곱입니다. 그러나 근호는 전위 표현식으로 변환될 수 있으므로 분수 지수가 있는 전위 함수로 변환하여 함수를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.
이제 변수 거듭제곱의 미분 공식을 적용합니다.
그리고 파생물은 다음과 같습니다.
근미분 규칙을 사용하여 이러한 유형의 함수를 구별할 수도 있습니다.
➤ 참조: 루트에서 파생됨
거듭제곱의 미분에 대한 해결 연습
다음 거듭제곱의 미분을 계산합니다.